카테고리 없음

AI/GP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_Part 4 (AI 역할 부여(Priming))

Move-first 2025. 5. 23. 05:21


프라이밍(Priming) :
인지심리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정화 효과라고도 합니다. 이는 사람들이 특정 정보에 노출되거나 그와 관련된 경험이 있을 때 그 후의 인식, 판단, 행동 등에 영향을 받는 현상을 뜻하며 AI tool 사용시에 전문적인 답변을 얻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AI에 프라이밍(Priming)을 통하여 사전 정보를 제공하여 특정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지시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 프롬프트: 역할, 상호작용 범위, 작동 방법을 특정하여 전문적인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특정 겨할 행동 지시의 예
사용자 프롬프트(영어): Act as
사용자 프롬프트(한국어):
당신은 ~로 행동합니다. → ChatGPT에서 가장 잘 작동함
당신은 ~로 역할을 수행합니다.
당신은 ~라고 가정합니다.

이외에도 역사적 인물이나 영화 캐릭터 등으로 역할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예) 당신은 세익스피어로 행동합니다. 여름에 대한 소네트를 작성해 주십시오. (소네트 - 14행의 짧은 구절로 이루어진 서양 시가) 를 세익스피어 스타일에 맞춰 창의적 결과물을 생성함

경영 보고서 작성에 도움을 받는 것도 가능.
예) 당신은 경영 컨설턴트로 행동합니다. 클라이언트는 "기업 경영자을 위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에 대한 보고서를 요청했습니다. 보고서 개요를 작성해 주세요. → 보고서 핵심 내용에 대한 인사이트 획득
같은 세션에서 추가로 요청할 경우 이미 역할 부여가 되어 있어 다시 할 필요 없음.

AI를 활용하면 작성 과정 체계화, 각 섹션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통해 구조화된 아웃라인 작성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음.
  예)이 보고서의 아웃라인을 작성해야 합니다. 아웃라인에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정의, 필요성, 기업 성장과의 관련성, 전략적 접근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방법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 보고서의 아웃라인을 구체적으로 작성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