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Market Insight Robot (한국)

Move-first 2025. 7. 24. 05:19

Global market insight를 살펴 보았다면 이제 범위를 조금 좁혀 한국에서의 로봇 시장에 대한 Insight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1. 로봇의 분류체계

2. 로봇의 핵심부품 Market


3. Major Player의 장점, 단점


4. 핵심 Insight

a.) 초고밀도·저출산이 자동화를 앞당기는 구조
– 한국 제조업 로봇 밀도 세계 1위, 그러나 임금·인구 구조상 “사람 대체” 수요 계속 확대. 산업용은 정체, 협동·AMR·서비스가 성장률 견인예상  

b.) 부품 국산화
– 감속기·서보 국산화율 20 %대에 불과. SBB TECH·LS ELECTRIC 등이 진입하면 제조원가 15–25 % 절감 여력. 정부 ‘소부장 2.0’ 펀드 기회.


c.) 대기업 + 스타트업 ‘투 트랙’ 협업
– 삼성·LG·SK(물류) 등은 스타트업(레인보우·트위니) 지분투자·PoC를 통해 플랫폼 락인을 시도 → 빠른 제품·서비스 실증이 핵심.

d.) SW-구독·RaaS 매출 비중 확대
– Doosan Robotics DAS Studio·Neuromeka Indy Care와 같이 월정액 서비스 출시 → 초기 CapEx 부담↓, 장기 LTV↑.



5. 투자 Point

a.) 공략 세그먼트 선정:
산업용(레거시) ↔ 협동·AMR(고성장) ↔ 서비스/휴머노이드(선점형)
(목표 RoI·리스크 수용도에 따라 선택)
b.)  부품 듀얼소싱 / 국산화 감속기·서보 국산화 파트너(SBB TECH, LS 메카피온) 발굴로 공급망·원가 안정
c.) ROS2·AI 파이프라인 내재화 현장 맞춤형 앱·데이터 서비스로 RaaS 전환; 국산 클라우드(네이버 ARC) 연계
d.) 정부 인센티브 활용 로봇설치 세액공제 10 % + 국책 ‘로봇융합+’ R&D 매칭 지원
e.) 인증·규제 대응 KOSHA 협동안전 가이드, KC·의료기기 GMP 등 국내 규격 동시 확보로 TTM 단축(Time to Market)

ROS2 (Robot operating System 2): 오픈소스 로봇 미들웨어로 'ROS'의 차세대 버전. 로봇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통신,제어,라이브러리를 표준화해 제공. -> 표준으로 자리 잡으면서 제조.물류.자율주행 등에서 Plug and Play 생태계 형성 가능 → 개발.유지보수 비용 절감

ARC(AI Robot Cloud): Naver가 자체 개발한 Clud robotics platform으로 실시간 로봇 관제. 경로 최적화. Digital Twin으로 공정 동선 시뮬레이션 OTA(Over-theAir) 업데이트. 서비스 배포 → 클라우드(네이버 클라우드) - AI(하퍼클로바 X) - 로봇(ARC) 수직통합 → 다수 로봇이 협업하는 대규모 서비스 빠르게 론칭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