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Transition Vs. Closed Transition 은 전환 방식을 나타내는 용어로, 가장 큰 차이점은 전환시에 정전 여부입니다.
Open Transition
Break-before-make transfer switch 라고하며 전력 전환시에 하나의 전원 공급원과의 접촉을 끊은 후에 다른 전원 공급원과의 접촉을하며, 이 과정에서 전기의 흐름이 중단되므로, 역전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Closed Transition
Make-before-break transfer switch 라고하며 전력 전환시에 발전기의 전원과 유틸리티의 전원을 잠시 병렬로 연결하며, 전환 과정에서 전원이 중단되지 않아서 critical 한 부분에 적용이 됩니다. 만약 두 전원 공급원이 모두 불가한 경우 전환 스위치는 개방 전환(Open Transition) 모드에서 작동해야 하며, 이로 인한 역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Open Transition | Open Transition (For small load profiles) Switch 가 변환될 때 잠시 정전상태가 됨 |
![]() |
![]() |
Delayed Transition |
Delayed Transition (For medium and large load profiles) 임의 시간동안 Delay 전환을 통해 역전류를 방지 |
![]() |
![]() |
Closed Transition | Closed Transition (For frequent load transfer are excuted between live sources) Overlap 되기 때문에 정전없이 변환 가능 |
![]() |
![]() |
https://www.se.com/us/en/faqs/FAQ000219583/
What are the different ASCO ATS transition modes? | Schneider Electric USA
www.se.com
Q ) ATS는 Auto Tansition Switch의 약자로 Auto로 Transition 되면 Open 또는 Close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되는것이 아닌가요? 왜 Open transition을 ATS(Auto Transition Switch)로 표현을 하나요?
A) Open Transition"을 ATS(Automatic Transfer Switch)로 표현하는 이유는 ATS의 기본적인 전환 방식이 Open Transition에 기반하기 때문입니다. Open Transition ATS는 주 전원과 백업 전원 간 동기화 없이 "Break-before-Make" 방식으로 작동하며, 이 과정에서 순간적인 전력 중단이 발생합니다. 즉, ATS는 다양한 전환 방식(Open, Closed, Delayed Transition)을 포함하지만, Open Transition이 가장 일반적이고 단순한 형태로 널리 사용되기 때문에 ATS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표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