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9

ChatGPT/ AI를 이용한 효율적 업무 관리 / 생산성 _ Whimsical 마인드맵(Mindmap)

효율적인 업무 관리 및 생산성을 위한 AI Whimsical : 마인드맵 흔히들 마인드맵 많이 만드시죠? AI의 도움을 받아 약간의 브레인 스토밍도 하고 마인드맵을 작성할 수 있는 Site입니다. 아직은 무료이구요 ~ 저는 예시로 "이직을 하기위한 준비" 라고 입력하고 우측에 붉은색 표시 "AI 표시"를 클릭하니까 알아서 마인드맵을 작성해 주었습니다. 작성해준 마인드맵에서 또 "AI 표시"를 클릭해 주시면 더 세부적인 부분까지 아이디어를 제공해 줍니다. Google 검색창에서 "whimsical.com" 으로 입력하시면 바로 연결 되어요 #mindmap#마인드맵#AI#GPT#Whimsical

카테고리 없음 2024.11.11

Chat GPT 인터넷 검색부터 데이터 시각화 까지

실시간 웹 검색 부터 검색된페이지의 정보를 요약하고 싶을 경우에는~~ WebPilot 맞춤형 프롬프트 입력으로 원하는 뉴스를~~~ NewsPilot  어떤 검색어가 인기 있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Waht's Trending  학술 논문을 검색하고 요약하고 싶을때는~~ Scholar AI  유튜브 영상을 글로 용갸 정리하여 쉽고 빠르게 정보 검색을 원한다면~~ Video insight

카테고리 없음 2024.11.10

Chat GPT , Generartive AI 서비스 ~ AskUp, wrtn

Chat CPT와 같이 LLM 기반의 서비스 중에 몇 가지 서비스를 알려드릴께요... 이미 Co Pilot, Gemini, CLOVA x, Cue 를 소개 해 드렸지만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는 ~ 카카오톡... 카카오톡에 아숙업이라 불리는 AskUp 서비스가 있습니다. GPT와 비슷한 거기에 CLOOA X도 조금 추가(Naver Data 기반으로 한국에 대한 이해도가 높음) 또, 거기에 수학 문제도 사진을 찍어서 올리면 풀어주는~ 카카오톡에서 바로 연동하여 쓸 수 있는 서비스 입니다. ~ 그리고 빼 놓을 수 없는 wrtn 서비스 Gemini 와 같은 서비스를 품고 있는 포털 서비스 정도로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여러 API 엔진을 가져와 쓸 수 있도록 한 서비스로 AI 스토어처럼 다양한 아이디어를..

카테고리 없음 2024.11.09

Chat GPT 도 MBTI가 있다? (2 번째 이야기) _ 정리

생성형 AI 특징별 활용법 정리 입니다. Bing Chat(Co-pilot)은 GPT 보다는 조금 덜 구조화되고 짧은 문장으로 구성되지만 검색엔진 기반의 정보를 제공하므로 Bing Chat으로 최신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내용을 바탕으로 GPT를 통하여 좀 더 구체화 되고 풍부하게 내용을 구성해 보면 어떨까요? GPT는 정보 검색에 약하지만 대화의 시나리오 작성 또는 대화 형식의 데이터 활용에 유용하여 문맥, 문장 활용이 비교적 많은 상담 컨텐츠(금융, 보험, 부동산 등) 시나리오 생성시 활용하면 좋습니다. GPT 1. 다양한 주제와 맥락에서의 대화에 활용 - 초등학생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명해줘 2. 원문이 어려운 경우 원문을 대화창에 복사해서 붙인 후 Shift + Enter를 통해 줄 바꾸..

카테고리 없음 2024.11.08

Chat GPT도 MBTI가 있다?

ChatGPT의 MBTI는 무엇일까요? ChatGPT에 MBTI 관련된 질문을 하고 답변 받은것을 분석해보았더니 GPT-3.5는 ENTJ(활발) 이고 GPT-4는 INTJ(소심)였습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GPT-4.0으로 넘어오면서 "이런건 이렇게해" 등 여러가지 Training이 추가 되며 제약 받는 부분이 많아져 소심이로 변한 것 같습니다. 이제 좀 더 다양한 LLM(Large Language Model)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ChatGPT를 포함 다양한 LLM service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친구들에게도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유는 LLM을 만든 회사가 보유한 데이터와 분석방법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재미있는 점은 같은 질문을 하더라도 다른 형태의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4.11.07

챗 GPT 토큰수 계산법/ Chat GPT Token calculator

GPT 모델은 Input 과 Output 토큰 수에 따라서 비용이 계산됩니다. 유료 플랜을 쓰고 있다면, 토큰 당 과금이 되기 때문에 토큰 계산이 중요합니다. 1. 토큰수 구하기(영문 기준입니다.) 개념 정확한 계산식은 아니지만 기본 개념 적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한 단어 혹은 한 단어를 구성하는 subpart가 1 token이 됩니다. a.) 통상 많이 쓰이는 단어: 1Token 단어들은-> The, Exmaple 등 b.) 조금 더 덜쓰이는 단어: 2Token 으로 인식 -> Translate -> Tran / slate -> Programming -> Program / ming c.) 아주 쓰임이 덜한 단어: 4Token 으로 인식 -> Tonkotsu -> Ton / K/ ots/ u 통..

카테고리 없음 2024.10.14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의무설치비율 대상은요?

의무설치비율 대상은 어떻게 되나요? "주요 내용으로는 분산에너지의 범위를 40MW 이하의 모든 발전설비 및 500MW 이하의 집단에너지 발전설비에서 생산하는 전기에너지로 규정하고 연간 20만MWh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는 시설 또는 100만m2 이상의 도시개발사업은 반드시 분산에너지 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그런데 실제로 보면 강제 의무 대상은 그렇게 많아보이지 않습니다. 20만MWh 를 시간으로 환산한다면 200,000/365일/24시간 = 27.4MW 정도고 발전기기의 이용률에 따라 약 90%라고 하면 27.4 x 0.9= 24.66MW 즉 발전기 용량으로 25MW 정도 됩니다. 면적으로는 산업단지 평균 면적이 33만7천m2 로 100만m2를 넘기에는 굉장히 어려울 것 같습니다. 중요한건 지방에서 분산..

카테고리 없음 2024.09.03

데이터센터 Colocation(코로케이션) /Retail Colocation vs. Wholesale Colocation

1. Colocation (코로케이션)의 정의 코로케이션(Colocation)이란 냉방/난방, 조명, 전기 물리적인 시설을 갖추어 놓고 임대업자와 같이 물리적인 공간을 대여해주는 사업자를 말한다. 즉, Colocation의 고객이 자신의 검퓨트와 스토리지, 네트워팅 장비를 구매하여 시설물을 이용한다. Colocation 사업자가 냉방/난방, 전기, 조명, 건물등의 시설을 관리하고 관리비를 받기 때문에 고객은 별도로 시설물을 관리할 책임이 없다. 2. Colocation(코로케이션)의 장/단점 장점: 고객이 필요한 만큼 확대하고 축소하는 탄력성과 대규모 상용 데이터센터를 통한 규모의 경제 효과 덕분에 비용의 이점이 있다. 데이터센터 운영 기술을 갖춘 기술 인력을 채용해야하는 부담도 줄일 수 있다. 또한, ..

카테고리 없음 2024.04.12

Data Center Market Trend / 시장

A. Global(출처, CIO) 2022년 374억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23년 ~ 2032년까지 25% 이상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하이퍼스테일 데이터센터 시장: 솔루션 부문은 예측 기간동안 약 25.5% CAGR 성장할 것으로 예상 (출처: Global Market Insight) B. 국내데이터센터 시장 국내에서는 '22년 기준 약 187개의 DC가 운영중이며(민간 약 93개소), '21년 대비 '22년 약 25개소가 증가하여 큰 증가 폭을 나타냄 Co-location 사업자, E사, D사등을 비롯하여 자체 데이터센터 건설을 추진중인 국내/외 Big Tech. 기업들이 1년에 1~2개소씩 데이터센터 건설을 계획하고 있어 26년까지는 약 20개소 이상이 더 설치될 예정. 국내 데이터..

카테고리 없음 2024.04.12

Zero Energy Building (ZEB) 제로에너지빌딩 의무화 1년 유예 (민간 1000m이상 민간건축물 or 민간 30세대 이상 공동

Zero Energy Building(ZEB) 의무화 로드맵에 따라 2024년 1000m2이상 민간 건축물 및 민간 공동주택 30세대이상(5등급수준) ZEB 제로에너지빌딩 의무화 예정이었으나 한시적 규제유예가 되었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민간 공동주택 30세대, 1000m2이상인 민간 건축물은 웬만한 민간 주택은 포함되는 수준이라서 결국 대부분의 민간 건물이 ZEB를 만족시켜야하는 상황으로 이어지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아무래도 공사비 부담이 있어 공공건물을 시작으로 민간으로까지 의무화를 확대해 가는 과정에서 공사비 부담감이 상대적으로 커서 유예가 된 것 같습니다. 공사비가 기존 공사비보다 26~35% 가량 상승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어 원자재, 인건비 상승으로도 힘든 시장에서 쉽게 의무화 하기는 어..

카테고리 없음 2024.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