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7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_Review

분산에너지 정의: 에너지의 사용지역 인근에서 생산. 소비되는 에너지 범위: 수요지 인근에서 에너지의 생산. 저장, 잉여 전력의 해소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자원 분산자원의 크기: 발전설비용량 40MW 이하의 발전설비 및 발전설비용량 500MW 이하의 집단에너지설비(*)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중소형원자력발전, 연료전지, 수소발전, ESS 등이 대표적인 분산에너지. * "집단에너지"란 2개 이상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공급되는 열 또는 열과 전기를 말한다. _ 집단에너지사업법 제2조(정의) 1항 의무대상: (분산에너지활성화 특별법) 1. 「건축법」 제2조 제2호에 따른 건축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정규모 이상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신축 또는 대수선 하는 건축물의 소유자 2.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

카테고리 없음 2024.01.26

녹색건축인증제도 (G-SEED)

녹색건축인증제란? 녹색건축인증제는 환경 친화적 +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건축물을 설계, 건설,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건축물 인증 시스템 중 하나로 건축물의 위치부터 재료, 실내환경, 유지관리등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건축물 전반에 대한 평가를 통해 건축물의 환경성능을 인증, 건축기준 및 세제혜택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 입니다. G-SEED: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는 2002년에 공동주택 대상으로 도입되어 현재는 신축 건축물과 기존 건축물을 대상으로 주거용, 비주거용 건축물의 친환경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이 2012년 2월에 제정되고 2013년 2월 23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

카테고리 없음 2024.01.08

신재생에너지 관련 법령 및 KS 인증과 관련한 자료

신재생에너지 설비 설치를 위해서 KS 인증이 필요한가요? - 반드시 필요한 곳은 대부분의 공공기관(연면적 1,000m2 이상건물), 일정부분 국가의 보조금을 받는 사업이고 일부 민간 건축물에 설치하는 신재생에너지 설비도 지자체에 따라 다르지만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한국에너지공단 홈페이지 > 신재생에너지센터 >주요사업>신재생에너지보급확대>공공기관 설치의무화제도 https://www.knrec.or.kr/biz/introduce/new_policy/intro_govinstall.do?gubun=A 신·재생에너지센터 | 주요사업 |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 공공기관 설치의무화제도공공기관 설치의무화제도 공공기관이 신축·증축 또는 개축하는 연면적 1,000㎡ ..

카테고리 없음 2024.01.08

국내 신재생에너지 관련법규

국내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과 보급을 위해 다양한 법규가 시행되고 있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관련 법규 및 특징을 간략히 정리하였습니다. 1.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 촉진법: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보급을 촉진하기 위한 법률로,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설의 설치와 운영을 촉진하고,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대한 지원 및 보호 등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전력산업법: 전력산업의 발전과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법률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대한 규제와 지원 사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 에너지정책 기본법: 에너지정책의 기본 원칙과 방향을 정하는 법률로, 신재생에너지 발전 및 보급에 관한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4. 신재생에너지 발전 및 보급계획: 정부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및 보급을 위한 계획을 수립..

카테고리 없음 2024.01.05

신재생에너지 설치의무제도 Vs.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제도

신재생에너지 설치의무제도와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제도는 둘 다 신재생에너지를 증진시키기 위한 제도이지만, 목적과 적용 대상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신재생에너지 설치의무제도 - 관련법규: 건축법 또는 에너지관리법 등의 관련된 법규에 근거) - 대상: 건축물이나 시설물을 건설하거나 개조할 때 해당 건물에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제도입니다. * 예를 들어, 태양광 패널이나 풍력 발전 시스템을 건물에 설치하여 전기를 생산하거나, 지열 발전 시스템을 활용하여 난방이나 냉방을 제공하는 등의 방식으로 신재생에너지를 도입합니다. 이 제도는 건축법이나 에너지관리법 등과 관련된 법규에 근거하여 시행됩니다. 2.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제도 - 관련법규: 전력산업법 또는 에너지정책 기본법에 근거 ..

카테고리 없음 2024.01.05

RE100 Vs. CF100

Summary] RE100과 CF100은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방법으로 취지는 동일하나 소비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를 통하여 공급하는 RE100과 소비 전력의 100%를 무탄소원에너지원으로 공급하는 CF100 사이에는 에너지원과 이행방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에너지원> RE100: 신재생에너지 CF100: 신재생에너지 + 원자력 + 연료전지 등 이행방안> RE100: 필요한 전력량을 재생에너지를 통해서 공급 CF100: 24시간 7일 내내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 원자력등의 무탄소 에너지원으로 공급 - RE100은 실제 필요한 전력이 1MW라면 태양광등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필요한 전체 공급량을 맞추면 RE100 이행으로 볼 수 있지만 한 발짝 더 들어가서 본다면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으로 인하여 ..

카테고리 없음 2023.12.14

고위발열량(HHV) Vs. 저위발열량(LHV)

발열량 연료가 완전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즉, 물질이 완전 연소)으로 고체 및 액체의 경우 그 단위 중량(1kg)의 연소로 발생하는 열량을 kcal로 나타내고, 기체 연료의 경우에는 표준 상태에서 단위 체적 (1Nm2)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을 kcal로 각각 표시한다. 고위발열량 (Higher calorific value 또는 Higher heating value) 연료가 연소한 후 연소가스의 온도를 최초 온도까지 내릴 때 분리하는 열량. 이때 연소 가스 중의 수증기는 응축하여 액체가 되며 응축할 때 응축열을 발산하고 그 응축열까지 포함하여 열량을 계산한 것이 고위발열량. - CH4와 같이 분자중에 H(수소)가 들어있는 경우에는 연소로 생기는 물의 상태가 기체(수증기) or 액체(물) 에 따라 ..

카테고리 없음 2023.12.14